1) 2018년 KONIS 매뉴얼에 보면 세균에 의한 폐렴의 경우 혈액, 흉수 배양검사나 protected specimen brushing (PSB), BAL, 폐조직 등의 정량배양한 검사에서 원인 세균이 동정되어야 PNEU2로 진단할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또한, PSB, BAL 검체라도 정량배양을 하지 않았으면 PNEU2로 분류할 수 없고 기관지내 흡인액(TTA)은 최소 오염검체가 아니므로 폐렴진단(PNEU2)을 위한 검사기준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객담, 기관지내 흡인액, 비정량배양한 PSB/BAL 등에서 세균이 자란 경우는 모두 PNEU1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외적으로 면역저하환자는 위와 관계없이 PNEU3로 분류합니다. 2018 KONIS manual <폐렴(PNEU)>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2) RIT 기간이 지나고 모든 조건이 PNEU 진단기준에 부합한다면, 다시 새로운 의료관련감염으로 진단하도록 안내 드립니다.
KONIS ICU 사무국입니다.
1) 2018년 KONIS 매뉴얼에 보면 세균에 의한 폐렴의 경우 혈액, 흉수 배양검사나 protected specimen brushing (PSB), BAL, 폐조직 등의 정량배양한 검사에서 원인 세균이 동정되어야 PNEU2로 진단할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또한, PSB, BAL 검체라도 정량배양을 하지 않았으면 PNEU2로 분류할 수 없고 기관지내 흡인액(TTA)은 최소 오염검체가 아니므로 폐렴진단(PNEU2)을 위한 검사기준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객담, 기관지내 흡인액, 비정량배양한 PSB/BAL 등에서 세균이 자란 경우는 모두 PNEU1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외적으로 면역저하환자는 위와 관계없이 PNEU3로 분류합니다.
2018 KONIS manual <폐렴(PNEU)>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2) RIT 기간이 지나고 모든 조건이 PNEU 진단기준에 부합한다면, 다시 새로운 의료관련감염으로 진단하도록 안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